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6

정규화(Normalization) 개념과 정규화 과정(4NF, 5NF) 이번 포스팅에서는 정규화(Normalization) 개념과 정규화 과정 두 번째 시간으로 고급 정규화 과정인 제4 정규형(Four Normal Form : 4NF)과 제5 정규형(Five Normal Form : 5NF)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제 4정규형(Four Normal Form : 4NF)은 릴레이션 R에 다중치 종속(Multi Value Dependency : MVD) A ->>B가 존재할 때 R의 모든 속성도 A에 함수 종속이면 릴레이션 R은 제4 정규형에 속합니다. 다시말해 릴레이션 R에 A, B, C 세 개의 속성이 속해 있을 때 속성(A, C)의 도메인 값에 대응되는 B의 도메인 값 집합이 C 값에 독립이면, B는 A에 다중치 종속이라 하고 기호로는 A ->>B로 표시합니다. 예를 들.. 2020. 6. 10.
정규화(Normalization) 개념과 정규화 과정(1NF, 2NF, 3NF, BCNF) 이번 포스팅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정규화의 개념과 정규화 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현실 세계를 데이터 논리 구조로 표현하는 관계 스키마 설계에는 몇 가지 원칙이 있습니다. 즉, 필요한 속성(Attribute), 개체(Entity), 관계성(Relationship)을 식별하여 릴레이션을 구성하고 불필요한 데이터의 중복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속성 사이의 관계성과 데이터의 종속성을 고려해서 설계해야 합니다. 또한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와 일관성 유지 방법 등도 고려해서 설계해야 하는 원칙이 있습니다. 정규화(Normalization)란 하나의 릴레이션에 하나의 의미만 존재할 수 있도록 릴레이션을 분해해 나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정규화의 목적은 구성되는 모든 릴레이션이 중복.. 2020. 6. 9.
프로젝트 진행시 구성원에 대하여(PM, PL, PE) 이번 포스팅에서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조직 구성원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프로젝트 진행 시 PM, PL, PE 등의 용어를 사용하는데요, 각각 역할과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PM(Project Manage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M은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의 모든 관리 업무를 책임지는 사람입니다. 외부 팀과 인터페이스를 담당하고 의견 조율을 하면서 내부의 개발팀을 외부의 폭풍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PM의 세부 역할과 책임을 나열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프로젝트 성공에 대한 책임 프로젝트 팀 구성에 대한 권리와 책임 프로젝트의 업무 정의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 프로젝트 일정 관리 프로젝트 외주 관리 프로젝트 의사 소통 관리 개발팀과 조직의 상층부간 연결고리 역할 대.. 2020. 6. 8.
소프트웨어 개발 및 문서화 표준 용어 정리(MIL-STD-498) 이번 포스팅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시 자주 사용하는 용어들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개발 과정에서 약어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입문자 입장에서는 이로 인해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한번 정리해 두고 자주 사용하다 보면 어느새 입에 붙고 친숙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소프트웨어 개발 및 문서화 표준 용어는 과거 미국 군사 표준인 MIL-STD-498(Military-Standard-498)에서 시작되었습니다. WIKIPEDIA에서 살펴보면 용어의 유래와 세부 사항을 더 깊이 있게 살펴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각 용어의 약어와 풀 네임, 용어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Plans 약 어 전체 이름 설 명 SDP Software Development Plan 소프트웨.. 2020. 6. 7.